수동 광고
예전 포스팅에서 수동 광고와 자동 광고에 대해 알아보면서 수동 광고의 사용 이유 중 하나로 광고 로딩 속도를 꼽았었다 [수동광고의 장점 보러가기]. 하지만 여기서 끝이 아니라 수동 광고를 사용하면서도 광고 속도를 조금 더 올릴 수 있는 방법이 하나 있어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해보려고 한다. 정확히 얼마나 빨라지는지 측정은 안되지만 속도가 생명이 광고 송출에 있어선 아주 미세한 차이라도 분명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수동 광고 로딩 속도 문제점
수동 광고를 사용한다면 광고 스크립트를 복사한 뒤 HTML모드에서 직접 삽입을 하던가 서식에서 광고들을 넣어놓고 꺼내 쓸 것이다. 우리는 여기서 복사한 스크립트 내용에 주목해야 한다.
<script async src="내용/adsbygoogle.js"></script>
<!-- 사이드 광고 -->
<ins class=> <script>
스크립트 내용
</script>
위에 방식처럼 ". js"로 끝나는 스크립트가 있고 아래 소스들이 나오는데 맨 위에 있는 저 한 줄은 광고를 송출하는 소스다. 아마 수동으로 사용하는 유저들은 저 위에 스크립트까지 복사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을 텐데 본문에 상단, 중간, 하단 등 여러 곳에 광고를 삽입한다면 매번 광고를 송출하게 되는 것이고 그 과정에서 속도를 지연시킬 수 있다.
수동 광고 로딩 속도 올리는 방법.
맨 위에 있는 코드 한 줄은 한 번만 불러오면 되므로 [스킨 편집] - [HTML 편집]에 <head> 부분 밑에 복사해서 넣어주면 된다. 그리고 앞으로 수동 광고를 사용할 때는". js" 코드를 제외한 나머지 코드 내용만 본문 광고에 넣어주기만 하면 된다. 아래 예시를 보자.
<!-- 사이드 광고 -->
<ins class=> <script>
스크립트 내용
</script>
결과적으로 우리가 수동으로 광고를 삽입해주는 코드는 이렇게 된다. 참고로 위치별(상단,중간,하단) 광고 코드는 서식에 저장해서 사용해도 되지만 서식으로 광고를 넣으면 광고가 깨진다는 얘기가 있어서 위치별 광고 코드를 따로 메모장 등에 저장해 준 뒤 글을 쓸 때마다 HTML모드에서 직접 넣어주는 것을 추천한다.